내일은 네 마녀의 날이라고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변동성이 아주 큰 날이죠! 그런 의미에서 선물에 대해 공부를 해 보았습니다.

먼저 선물이란 한자어로서 먼저 선, 물건 물 즉, 먼저 물건을 사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선물이란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 시점에 거래를 약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리 약속해 놓은 거래이기 때문에 해당 물건의 가격이 변동되어도 이와 상관없이 약속한 날짜에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를 해야 겠죠?

주고 밭떼기 거래라고 비유를 많이 하는데요.

배추 가격 폭등으로 4인가족 김장 비용 33만원… 2020년보다 8% 이상 상승
4인 가족 기준 김장 비용이 배추 가격 폭등으로 인해 33만원이 넘으면서 지난해보다 8%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4인 가족의 김장 비
segye.com
매년 작황에 따라 배추의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추농사를 짓는 농부의 경우에는 배추가격이 너무 떨어질까 걱정이고, 배추를 소비자에게 유통하는 유통업자의 경우 배추 가격이 너무 높을까 걱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미리 거래를 해 두는 것이죠? 걱정을 하면 뭐하겠어요. 배추의 장황에 따른 배추 가격의 변동은 사람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이니까요. 그래서 미리 걱정을 덜 하기 위해서 계약을 미리 해두는 것이죠.
어떻게 거래를 할까요? 밭에서 자라고 있는 배추를 수확전에 거래를 합니다.

(상황1) 5000원으로 배추 가격이 결정되었습니다. 농부는 배추가격이 내릴 줄 알았고, 구매자는 오를 줄 알았는데, 둘다 어느정도는 만족할 만 상황인 것입니다.

(상황2) 배추값이 6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농부는 1000원 손해, 구매자는 1000원 이익입니다.

(상황3) 배추값이 4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농부는 1000원 이익, 구매자는 1000원 손해인 상황입니다.

요것이 선물의 대략적인 개념입니다. 주식시장에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선물거래의 대상은 다양합니다. 원유, 금, 은, 구리 등의 상품선물과 지수, 채권, 달러 등의 금융선물이 있습니다.

즉, 주가지수에 대한 선물, 개별주식에 대한 선물 두 종류의 선물이 있습니다. 주가지수의 예는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이 있고 개별주식에는 삼성전자, 하이닉스등 이 있게죠? 이런한 것을 선물의 기초자산이라고 하는데 선물의 가격은 기초자산의 가격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선물의 거래는 주식거래와 마찬가지로 매수자와 매도자가 직접 거래하지 않고 한국거래소를 통해서 거래를 합니다. 즉, 매수자와 매도자는 제3자인 한국거래소와 거래함으로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셈이겠죠? 이런 의미에서 한국거래소는 "청산소"입니다.
한국거래소는 표준화된 계약 조건에 따라서 원활하고 확실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매일 수많은 선물 거래가 이루어지며, 한 계약씩 매매가 진행됩니다.
선물 거래는 보증금으로 합니다. 계약한 총 선물의 10% 보증금만 있어도 거래가 됩니다. 적은 돈으로 큰 규모의 계약이 가능한 셈이죠. 잘 되면 레버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죠?
(레버리지 효과 :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

선물은 일일정산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일 장이 끝나면 종가를 기준으로 정산가격을 매일 발표합니다. 이 가격을 기준으로 투자자들의 미청산계약에 대한 잠정이익과 손실을 정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증거금이 유지증거금이하로 떨어진 경우 추가증거금 납부를 독촉합니다. 이것을 "마진콜"이라고 합니다. 이는 계약의 불이행 위험을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죠.
(유지증거금 : 선물 계약 기간동안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 증거금)
(6월1일)
1000만원으로 선물 계약 실시
개시증거금 15%납부 : 150만원
유지증거금 10% : 100만원
|
(6월2일)
선물 가격이 900만원으로 하락
개시증거금이 150만원에서 선물가격 하락분 100만원이 감소하여 50만원이 됨
유지증거금 100만원을 채우기 위해 한국거래소는 50만원 마진콜 독촉
계약을 유지하기 위해서 투자자는 50만원을 더 내야함.
|
매일 정산되기 때문에 증거유지금에 모자라는 금액을 매일매일 채워야 합니다.
만일 채우지 못한다면 보유한 주식을 팔아서 메꾸게 된다. 이를 반대매매라고 한다.
선물거래는 언제 종료될까요?
선물 만기일은 3, 6, 9, 12월 두번째 목요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분기별로 한번씩 만기일이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은 세번째 금요일 입니다.)

위의 표처럼 만기일에 계약을 유지하고 있다면 실물을 인수한 뒤 계약을 종료하거나 가격차이만큼 현금으로 결제한 뒤 계약을 종료하면 됩니다.
만기일이 이렇게 정해져 있지만, 만기일이 아니더라도 투자자가 원할 때 종료할 수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가능하냐면 내가 한 계약을 내가 거두면 됩니다. 만일 선물을 샀다면 선물을 매도하고, 선물을 팔았다면 선물을 다시 사는 방식으로 거두면 됩니다. 이것을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선물거래는 언제 종료될까요?
선물 만기일은 3, 6, 9, 12월 두번째 목요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분기별로 한번씩 만기일이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은 세번째 금요일 입니다.)

위의 표처럼 만기일에 계약을 유지하고 있다면 실물을 인수한 뒤 계약을 종료하거나 가격차이만큼 현금으로 결제한 뒤 계약을 종료하면 됩니다.
만기일이 이렇게 정해져 있지만, 만기일이 아니더라도 투자자가 원할 때 종료할 수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가능하냐면 내가 한 계약을 내가 거두면 됩니다. 만일 선물을 샀다면 선물을 매도하고, 선물을 팔았다면 선물을 다시 사는 방식으로 거두면 됩니다. 이것을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네 마녀의 날은 무엇인가? (0) | 2022.01.01 |
---|---|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옵션투자란 무엇인가? (0) | 2022.01.01 |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환율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01.01 |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구리와 금 가격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01.01 |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구리와 금 가격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