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주린이탈출 경제공부) 환율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아기감자님 2022. 1. 1. 01:36

한국 시장은 환율에 민감합니다.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주체는 개인투자자, 외국인투자자, 기관투자자인데, 한국증시내 외국인 투자자의 비율은 30%라고 합니다. 환율에 따라서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 상황이 유리해지거나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과 상관없이 환율의 영향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기업의 실적이 상승하게 되어 우리나라 경제는 좋아집니다. 하지만, 증시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가 유출이 되고 그에 따라 주가가 빠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환율이 증가하면 왜 외국인 투자자가 유출될까요? 환율이 증가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왜 한국주식을 매도할까요?

그림의 설명이 이해가 가시나요? 주가변동이 없이 환율 상승만 해도 17달러 정도가 손해가 납니다. 따라서 환율이 올라가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 매수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죠!

정리하면 원화가 달러 대비 약세인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증시를 떠나게 됩니다.


 

원화 가치가 달러 대비 높다는 것은 달러환율이 낮다는 것입니다. 외국 투자자들은 한국의 경제 상태를 높게 평가하여 원화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만큼 한국 경제가 튼튼하다는 증거이므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을 매수하게 되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원화 가치가 달러 대비 낮다는 것은 달러환율이 높다는 것입니다. 외국 투자자들은 환차손의 문제로 인해 유출이 심화되고 이는 한국 경제에 대한 불안함이 가중됩니다. 즉, 외국인 투자자의 심리가 부정적으로 변화되기 쉽습니다.


미국의 달러는 어느 나라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달러 가치가 높아지는 경우 높은 수익을 목적으로 위험 자산을 매입했던 사람들이 안전자산인 달러를 다시 매수하게 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는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한국의 증시는 전반적으로 부진해 지지만, 수혜를 입는 없종도 반드시 존재합니다.

환율 상승시 자동차, 전자 등 수출 주력 제품은 같은 제품을 팔아도 달러가 원화보다 비싸기 때문에 원화로 환산시 실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항공 및 여행업종은 비행기 렌탈 비용과 연료 가격의 상승, 해외 여행 수요의 감소로 인해 실적 하락이 예상됩니다.


주린이 탈출을 위해 매일 아침 환율을 체크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환율이 상승하는 추세라면 외국인투자자가 이탈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가가 떨어질 확률이 존재합니다. 환율이 하락하는 추세라면 외국인투자자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존재합니다. 환율의 추이가 100% 주가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는 예측을 할 수 있는 소재가 되므로 관심을 가져야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