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2

2022년 알아두면 돈 되고 힘되는 연금관련 제도변화 6가지

공적연금은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일반직장인과 자영업자 대상이고요. 직역연금은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 연금이 있습니다. ​ 노후에 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상 가입자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요! ㅎ ​ 국민연금의 경우 최소 가입기간 10년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 연금은 10년이상 재직하고 퇴직한 경우 군인연금은 20년이상 복무하고 퇴직한 경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만일 9년을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퇴직 후 일반직장인이 된 경우 또는 군인이 15년 복무하고 퇴직한 경우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YES! ​ 이 경우 모조건 다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연계연금이라고 해..

Life 2022.01.01

육아휴직하면 국민연금 보험료, 건강 보험료 내야 하나요?

남일 같지가 않아서 공부차원에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직장맘, 직장대디에게 가장 큰 문제는 뭐다? 육아문제! 저도 현재 4살 딸과 곧 태어날 딸을 기다리고 있는 입장에서 육아휴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고자 공부를 해 봤습니다. 현재 정부의 제도 차원에서 부부 모두 동시에 육아휴직이 가능하지만... 이것으로 육아문제가 해결될까요? NO! 육아휴직 기간 동안 소득문제 소득이 줄었을 경우 국민연금보험료 문제 육아휴직 기간동안 건강보험료 문제 등과 같이 육아휴직 관련한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육아휴직과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이란 근로자가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신청, 사용하는 휴직을 말합니다. 자녀 1명당 1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2명일 경..

카테고리 없음 2021.12.30